기본적으로 구글 애드센스에서 사용 하는 용어를 알 필요가 있어 간단한 용어 정리 입니다.
CPC : 클릭당비용(CPC)은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보고서에서 CPC는 예상 수입을 발생한 클릭수로 나눈 값입니다.
CTR : 클릭률(CTR)은 클릭으로 이어진 노출의 비율입니다. CTR = Clicks / Impressions
페이지 클릭률(CTR) : 광고 클릭수를 페이지 조회수로 나눈 값입니다. 페이지 CTR = 클릭수 / 페이지 조회수
페이지뷰 : 보고서에서 페이지뷰는 사용자가 Google 광고가 게재된 페이지를 조회할 때마다 집계됩니다. 이 페이지에 게재된 광고의 수에 상관없이 페이지뷰 1회로 기록됩니다.
노출 RPM : 1,000회 노출당 노출 수익(RPM)은 1,000회 노출당 평균 수입입니다.
노출 RPM = (예상 수입 / 노출수) * 1000
구글 애드센스에서 CPC가 잘 나오는 편이었는데, 갑자기 엄청 나게 수익이 떨어졌다. 이유는 뭔지 정확하게는 알수없다. 왜냐면 구글에서만 알수있기 때문, 정확하게 광고주 때문인지 뭔지 알수없이 대강 이래서 이런거 같다는 느낌만 있을 뿐이다.
그리고 구글애드센스에서 감소하는 이유를 써놓긴 했는데 결국엔 광고를 많이 개재 하라는 말 뿐이다.
구글 애드센스에서는 감소율을 파악하기 위한 문제해결 프로세스가있긴한데, 이게 맞는지 모르겠지만 혹시 모를 일에 대비해 한번 정도 읽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https://support.google.com/adsense/checklist/9822920?hl=ko
수입 감소 문제해결 - Google 애드센스 고객센터
수입 감소의 원인 파악 수입 감소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수입에 영향을 주는 주요 측정항목을 알아보는 것입니다. 여러 요소가 수익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으로 클릭당비용(C
support.google.com
구글 애드센스에서 수익 감소 이유를 적어두긴 했는데, 굉장히 포괄적인 내용이다.
1. 불필요한 광고를 차단을 잘했는지
2.계절에 따라 광고 단가 변경으로 CPC가 감소할 수 있다는 것
3. 반응형 광고 단위로 전환하고, 최적의 광고 크기 설정이 되어 있는지.
4. 네이티브 광고를 표시 해서 수엑 증대를 기다려 봐라
결국 정확하게 어떤 문제로 감소했는지 알기는 어렵고, 추측 일뿐.
대부분 관리자가 어떤 항목이나 변경을 했기 때문에 CPC가 줄어 든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보고서를 잘 활용하여 떨어짐 시기에 내가 어떤걸 설정했는지를 확인하고 다시 변경하고 해서 확인을 해야하므로 시간이 걸리는 건 어쩔 수 없다.
그치만 수익을 위해서라면 시간을 갖고 너무 조급 하면 올라가던 CPC도 나락으로 갈 수 있다는 걸 잊으면 안된다…
'항상 준비된 자세로 살아가자 > 구글의 모든것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널리틱스 자격증 따기, 시험 문제 ,구글 애널리틱스 자격증 (GAIQ) (0) | 2023.11.09 |
---|---|
[구글 디스커버] 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구글 디스커버 (0) | 2023.06.19 |
[구글 애드센스]"판매자 정보를 Google sellers.json 파일에 게시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공개 상태를 검토하려면 계정 설정 페이지를 방문하세요" 해결방법 (0) | 2023.05.12 |
[구글 애드센스]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안나옴. 왜?뭔데? (0) | 2023.04.28 |
[구글 애드센스] 2022년 첫 도전,티스토리 블로그 구글애드센스 - 신청하는법 (0) | 2022.01.03 |